Posts 오라클 클라우드 로드밸런서 생성 및 적용하기
Post
Cancel

오라클 클라우드 로드밸런서 생성 및 적용하기

설명

  • 로드밸런서를 생성하고 기존에 생성한 VM을 백엔드로 지정한다.
  • 로드밸런서에서 HTTP 요청을 받아 백엔드로 전달하는 예시를 작성한다.

로드밸런서 생성

  • (검색창에서)로드 밸런서 검색 후 선택
  • (로드 밸런서 본문에서) “로드 밸런서 생성” 버튼 클릭
  • (로드 밸런서 생성 - 세부정보 추가에서)
    • 로드 밸런서 이름
      • 원하는 이름 입력
    • 가시성 유형 선택
      • 인터넷에 노출할 것이므로 퍼블릭 선택
    • 퍼블릭 IP 주소 지정
      • 임시 IP 주소 선택
    • 대역폭
      • 기본값 사용
      • 최소 대역폭 선택
        • 10
      • 최대 대역폭 선택
        • 10
    • 네트워킹 선택 >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
      • 백엔드로 설정할 VM이 있는 VCN 선택
    • 네트워킹 선택 > 서브넷 선택
      • 로드 밸런서 용 서브넷을 만들어두었다면 선택
      • 없다면 VM이 있는 서브넷 선택
    • 관리
      • 컴파트먼트 루트 선택
    • “다음” 버튼 클릭
  • (로드 밸런서 생성 - 백엔드 선택)
    • 로드 밸런싱 정책 지정
      • 정책 설명
        • 라운드 로빈
          • 매 요청마다 백엔드를 라운드 로빈에 의하여 선택
        • IP 해시
          • 특정 클라이언트 요청이 항상 동일 백엔드로 전달
        • 최소 접속
          • 새 요청이 접속 수가 가장 적은 백엔드로 전달
      • 무난한 라운드 로빈 선택
    • 백엔드 서버 선택
      • 컴파트먼트 루트 선택
      • 인스턴스 선택
        • “인스턴스 추가” 버튼 클릭
        • (백엔드 추가 본문에서) 원하는 백엔드 선택 후
          “인스턴스 추가” 버튼클릭
      • 포트
        • 요청을 전달하고자 하는 포트 입력
        • 예시에서는 HTTP이니 80 선택
        • 백엔드 서버 인바운드 보안목록에서
          10.0.0.0/16, TCP, 80이 허가되어 있어야하나
          백엔드 서버 서브넷과 로드밸런서 서브넷이 같다면
          뒤에서 자동 생성할 수 있다.
    • 건정성 검사 정책 지정
      • 프로토콜
        • 원하는 프로토콜 선택
        • 예시에서는 HTTP 선택
      • 포트
        • 80
      • URL 경로
        • 백엔드 서버에서 Http Status Code 200을 응답하는 경로를 설정한다.
        • 예시에서는 /health-check 라고 가정
    • 백엔드 집합 > 백엔드 집합 이름
      • 원하는 이름 선택
    • 보안 목록
      • 자동으로 보안 목록 규칙 추가
        • 송신 보안 목록
          • 백엔드 서버 서브넷 송신 보안 목록 선택
        • 수신 보안 목록
          • 백엔드 서버 서브넷 송신 보안 목록 선택
    • 세션 지속성
      • 세션 지속성을 설정하면 세션에 의거하여 로드밸런서가
        기존 요청과 동일한 백엔드 서버로 요청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.
      • 애플리케이션 쿠키 지속성을 사용
        • 백엔드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쿠키가 있다면
          해당 쿠키 명을 입력한다.
      • 로드 밸런서 쿠키 지속성을 사용
        • 로드밸런서에서 요청마다 쿠키를 할당하게 한다.
      •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도의 쿠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
        “로드 밸런서 쿠키 지속성을 사용”를 선택
    • “다음” 버튼 클릭
  • (로드 밸런서 생성 - 리스너 구성)
    • 리스너 이름
      • 원하는 이름 선택
    • 리스너가 처리하는 트래픽의 유형 지정
      • HTTP 선택
      • HTTPS는 로드밸런서 생성 후에 설정할 것이다.
    • 수신 트래픽에 대해 리스너가 모니터하는 포트 지정
      • 80
    • “다음” 버튼 클릭
    • 고급 SSL 이 보인다면 무시한다. HTTP라 SSL을 설정할 필요 없다.
  • (로드 밸런서 생성 - 로깅 관리)
    • 프로덕션으로 운영 중이면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.
    • 실험용이라면 비용이 나올 수 있으니 사용 안 함을 선택한다.
  • (로드 밸런서 생성 - 검토 및 생성)
    • 확인 후 문제 없으면 “제출” 버튼 클릭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